/root/Maildir/new 에 cron 관련 메일이 엄청 쌓이는 경우 할수있는 2가지 방법 1) vim /etc/crontab 에 MAILTO=”” 추가 2) 각 cron 명령줄 뒤에 아래 구문을 추가 > /dev/null 2>&1
우분투 로그인메세지 표시
로그인후 메세지에 용량 ip등 표시 원하면 아래 패키지를 설치해야한다. apt-get install landscape-common landscape-sysinfo sudo service ssh reload 그리고 다시 로그인 하면 용량등 정보가 표시된다. 이걸 없애거나 수정하고자 한다면 아래 링크 참고 https://askubuntu.com/questions/318592/how-can-i-remove-the-landscape-canonical-com-greeting-from-motd motd 란 = message of the day 의 줄임말이다. vim /etc/motd 문구 적고 저장 sudo vim /etc/ssh/sshd_config PrintMotd yes PrintLastLog […]
자동등록방지를 위해 보안절차를 거치고 있습니다. 라고 나올때
외부IP로 스크립트 실행 혹은 크론을 통한 작업시 HTTP STATUS는 200인데 결과물이 없을때는 스팸방지나 차단 등의 문제로 인한 것이다. Crond 로그를 확인하거나 스크립트 출력해보면 확인 가능하다. grep CRON /var/log/syslog 200으로 리턴된 HTML의 결과물이 아래 내용을 포함한다면 그런 문제인데 “자동등록방지를 위해 보안절차를 거치고 있습니다” 카페24 호스팅의 경우 이러한 경우가 있었다 문제해결방법은 카페24 호스팅 로그인해서 웹 방화벽과 스팸쉴드를 […]
우분투 기본편집기 변경법
우분투에서 사용하는 기본편집기를 다시 변경하고 싶을때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sudo update-alternatives –config editor 위처럼 해서도 안바뀌면 cd ~ vim .selected_editor SELECTED_EDITOR=”/usr/bin/vim.basic” 참고: https://www.howtogeek.com/howto/ubuntu/change-the-default-editor-from-nano-on-ubuntu-linux/
우분투 chkconfig command not found
sysv-rc-conf 는 우분투에서 대체해서 쓸수 있는 옵션이다~ 사용법은 chkconfig랑 거의 유사하다. 설치 sudo apt-get install sysv-rc-conf 아파치를 서버시작시 자동실행 하려면 sysv-rc-conf apache2 on 이것은 chkconfig 명령으로 하면 아래와 같은것이다. chkconfig apache2 enable 아파치의 런레벨을 확인하려면 sysv-rc-conf –list apache2 이렇게 하면 된다~ 참 쉽다~
can’t find php mcrypt 함수를 찾을수 없습니다.
우분투 14.04 + php5.5 환경 sudo apt-get install php-mcrypt을 분명히 했는데 mcrypt가 없다고 한다. cd /etc/php5/mods-available 에 mcrypt.ini 파일 여부 확인 있으면 sudo php5enmod mcrypt service apache2 restart 다시 확인해보고 에러 메세지 안나오면 OK PHP 소스컴파일 모듈추가는 이곳 참고
how to solve add-apt-repository command not found
우분투 add-apt-repository command not found 이면 해결방법 sudo: add-apt-repository: command not found sudo apt-get install software-properties-common python-software-properties
우분투에서 AWS CLI 설치방법
우분투 리눅스에서 아마존AWS CLI 설치방법입니다. (Ubuntu – Installing the AWS Command Line Interface) AMI에는 AWS CLI가 기본설치되어 있지만 다른 스택에는 별도로 설치를 해야합니다. 우분투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진행합니다. 파이썬 확인 python –version python 없으면 설치. sudo apt-get install python PIP 확인 pip –version pip 없으면 설치 sudo apt-get install python-pip AWS CLI 설치 sudo […]
우분투 아파치 html파일에 php코드 그대로 나올때
우분투 리눅스환경에 APM 구축후 html 파일의 php 코드가 그대로 출력될때는 설정이 안되어서 그렇다. cd /etc/apache2/ vim mods-available/php5.conf 를 열어서 안에 내용을 통째로 아래 내용으로 바꾼다. <IfModule mod_php5.c>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php .phtml .php3 .html .inc .htm AddType application/x-httpd-php-source .phps </IfModule>
usb로 우분투 설치방법
USB로 빠르게 우분투 PC 설치하는 방법~ 어렵지 않아요~ 설치과정 우분투 Live CD로 들어간다. Try without any change to Computer로 들어간다. 바탕화면의 Install을 클릭. 파티션 설정이 나오면 USB drive를 다 쓰도록 설정 (Use whole hard disk에서 사용할 USB 선택) 설치 중에 부트로더 관련부분 나오면 선택한 USB에 부트로더를 설치 (주의!: 하드디스크나 하드디스크 파티션에 설치하지 않도록 주의) 설치가 […]
MySQL 원격접속 안될때
mysql 원격 접속 안될때 (우분투) 우분투 패키지 설치한 mysql의 설정파일 위치는 vi /etc/mysql/my.cnf 이다. #vi /etc/mysql/my.cnf vi /etc/mysql/my.cnf 에서 아래 2줄 주석처리 #bind-address = 127.0.0.1 #skip-networking 참고 : https://easyengine.io/tutorials/mysql/remote-access/
리눅스 우분투 SWAP 스왑메모리 생성 방법
atlantic.net 클라우드 호스팅을 사용하는데 우분투로 다시 provisioning 하고 나서 free -m 쳐보니. 스왑메모리가 디폴트로 생성이 안된다. 따로 만들어 줘야 한다. 현재 물리적 메모리가 1기가이니 2기가로 만들어줘야 겠다. Ubuntu 14.04 에서 SWAP 생성하기 1. 스왑으로 사용할크기 할당 dd if=/dev/zero of=/swapfile bs=1024 count=2048k 2.스왑파일 지정 mkswap /swapfile 3.스왑파일 활성 swapon /swapfile 4.서버가 재시작될때 자동으로 스왑이 활성화 되게 […]
리눅스 안드로이드 개발 adb is down, syntax error 에러
The connection to adb is down, and a severe error has occured. 문제시 android sdk가 있는 디렉토리에 platform-tools 폴더로 이동하여 sudo ./adb kill-server 또는 ./adb restart를 실행해보자 위에서 말한거 처럼 kill-server 실행했는데 이런 에러가 나오면 “adb syntax error ) unexpected” SDK platform-tool 23.1의 버전 문제이다. 이 문제는 32bit OS 사용자들한테만 발생하는듯하다. 아래 링크에서 23.0.1 버전을 […]
우분투 사용중인 파티션 나누기
파티션 나누기 윈도우에서는 사용중인 C드라이브도 확장/줄이기가 가능하다. 그래서 우분투에서 시도해보았지만 되지 않았다^^; 우분투에서는 사용중인 파티션의 크기조정이 되지 않는다. 그렇다고 다시 설치할필요는 없다. 우분투 설치용CD 나 USB를 넣고 부팅해서 Live CD로 실행한다음 거기서 Gparted를 실행해서 분할하면 된다. 파티션 분할 용량이 크면 시간이 조금 많이 걸린다. 멈춰있는것 같다고 재시작하면 안된다.
_IceTransSocketUNIXConnect: Cannot connect to non-local host 에러시
_IceTransSocketUNIXConnect: Cannot connect to non-local host 에러시 이런 에러가 발생한 다는 것은 아마도 hostname을 변경해서 일 것이다. /etc/hostname 을 변경하였다면 /etc/hosts 에도 변경한 이름을 적용해줘야 한다. 예를 들어 hostname을 Mybuntu로 변경하였다면 hosts파일에 다음과 같이 1줄을 추가해준다. 127.0.0.1 Mybuntu
우분투 exif 데이타 확인 과 삭제방법
우분투에서 exif 데이타 확인방법 sudo apt-get install imagemagick identify -verbose image.jpg 우분투에서 exif 데이타 제거방법 sudo apt-get install jhead jhead -purejpg image.jpg
우분투 상단 창닫기 버튼 우측으로 변경하는 방법
gconf editor를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gconf-editor 터미널에서 gconf-editor 커맨드 실행 apps -> metacity -> general 에서 button_layout 더블클릭. close,minimize,maximize: 이렇게 나오는 것을 요렇게 바꾸면 된다. :minimize,maximize,close
우분투 vi 방향키 이상한글자
우분투 vi에서 편집할때 방향키나 i, insert를 누르는데 이상한 글자가 쳐지고 반응이 이상하다면. /home/사용자명 으로 이동하여 vi .exrc 한 후 아래 라인을 입력하면 해결된다. set autoindent set number set bs=2 set nocp
우분투 unity 에서 GNOME으로로
Unity는 적응안되서 이기도 하겠지만 GNOME보다 좀 버벅거리는 현상이 있다. GNOME환경으로 가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만약 사용자계정이 추가된다면 로그인시에 아이콘을 클릭하여 변경하여 주면 된다. 우분투 소프트웨어센터에서 GNOME으로 검색을 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The GNOME Desktop Environment, with extra components 를 설치한다. 중간에 gdm 이냐 lighgdm이냐 선택창이 나오는데 난 lightgdm으로 했다~. 설치가 완료되면 업데이트를 […]
우분투 터미널에 나오는 이름 변경
우분투에서 터미널에 나오는 localhost의 이름을 변경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hosts 와 hostname에서 기존에 설정된 이름을 변경하면 된다. 변경 후 시스템을 재시작 하면 바뀐것을 확인 가능하다.
우분투에서 VirtualBox usb하위시스템에 접근할수 없습니다.문제
우분투에서 vBox를 설치한후 설정에 들어가려고 하면 아래와 같이 메세지가 나온다. usb하위시스템에 접근할수 없습니다. vboxusers 그룹에 추가하십시오 이럴땐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sudo usermod -a -G vboxusers 사용자이름.
우분투 초짜 메모
우분투 설치된 패키지 확인 dpkg -l | grep php 패키지 삭제법 apt-get remove 패키지명 우분투 ftp 업로드 시 파일의 권한 문제 업로드한 파일들이 600 권한으로 업로드 되었다면 vi /etc/vsftpd.conf local_umask=022 // 주석되어 있는 것을 해제 file_open_mode=0644 //추가 cURL 설치 apt-get install php5-curl 아파치 재시작 하면 끝 우분투에서 php를 쉘로 실행하려면 #!/usr/bin/php -q 참고: http://goo.gl/I4USW 가상호스트 추가 […]
우분투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속도문제
우분투 초기설치 후 그냥 쓰다가 패키지 업데이트를 하거나 새로운 패키지를 받을때 용량이 얼마안되는 것도 시간이 상당히 걸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소프트웨어 관리자 -> 설정 ->저장소에서 가장 가까운서버 선택을 클릭하여 스캔된 목록중에서 첫번째 것으로 바꿔주면 된다. 이렇게 하면 훨씬 빨라진다. Reference http://deviantcj.tistory.com/145
우분투에서 윈도우 파티션 마운트하기
XP를 쓰다가 멀티부팅으로 우분투 설치하고 우분투에 버츄얼박스를 설치하고 이전하려 계획중이지만 파일 옮기기가 힘들어서… 예전에 쓰던 윈도우가 설치된 다른 파티션을 우분투에서 마운트 하려면 이렇게 한다. 어떤 파티션이 윈도우인지 잘 모르겠다면 grub.conf 파일을 참조해도 된다. grub.conf의 위치는 sudo vi /boot/grub/grub.cfg sudo su mount /dev/sda1 /media